요약
은행채 등 시장금리 상승분 반영으로 인해 대출금리가 기준금리의 2배이상 올랐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가 1.50% ▶ 1.75%으로 0.25포인트가 증가하였습니다. 2007년 이후 14년이 지난 현재 2달 연속으로 기준금리가 올라갔습니다.
기준금리 인상하는 이유?
코로나19에 대한 방역정책이 점점 완화되면서 사람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고용시장이 점점 좋아지면서 취업자 수가 증가하였습니다. 이로인해 경기가 회복되면서 물가가 자연스럽게 인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러시아 vs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의 봉쇄조치 등으로 인해 국제적으로 공급망에 대한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밀을 봄과 가을 2번 이모작을 합니다. 그러나 작년 가을에 파종한 밀을 올해 봄에 수확을 해야 했으나 전쟁으로 인해 수확을 하지 못해 봄에 파종을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올해 가을밀 파종 또한 하지 못하게 되면 내년까지 전 세계의 밀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게 되었습니다.
밀은 현물이 아니라 선물 거래를 통해 이루어져 현재 밀 수입 가격은 과거 선물 계약을 통해 정해져 있었으나 전쟁으로 인해 올해 3월부터 밀 가격이 폭등하여 지속적으로 가격이 폭등할 것 같습니다.
따라서 수요는 증가하는 상황에서 공급은 줄어들어 물가(가격)가 오르게 되었습니다. 물가를 막기위해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게 되었습니다.
대출금리 인상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가계대출이 기준금리 인상 전 2.98%에서 현재는 3.98%으로 약 1.0%포인트 증가하였습니다. 그리고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인상 전 2.81%에서 현재는 3.84%으로 약 1.03%포인트 증가하였습니다. 신용대출 금리도 인상 전 3.86%에서 5.46%으로 1.60%포인트 증가하였습니다.
물가인상
지난 2년간 정부에서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서 지원금을 풀었습니다. 지난 2월 한국은행에서는 올해 물가 상승률 정망치를 3.1%로 보았으나 4%가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지난 1년간 물가 주요품목 상승률을 보면 석유류 34.4%, 전기요금 11.0%, 공업제품 7.8%, 가공식품 7.2%, 전기, 가스, 수도 6.8%, 외식 6.6%, 개인서비스 4.5%, 집세 2.0%, 농축수산물 1.9% 순으로 증가하였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역전되는 경우 어떻게 될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에서는 정례회의를 통해 빅스텝으로 기준금리 0.5%를 인상하였습니다. 만약,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의 기준금리를 역전하게 되는 경우 한국에 있는 해외자금이 기준금리가 높은 미국달러로 이동하게 되면서 달러 환율을 증가하게 되면서 미국의 달러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환율 급등으로 인해 수입 원자재 가격이 상승되어 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7월에는 미국 기준금리를 2%으로 인상할 계획으로 한국과 미국간 기준금리 역전을 막기위해서 우리나라는 마찬가지로 기준금리 인상을 불가피하게 되었습니다.
빅스텝(Big Step)
경제용어사전에 따르면 빅스텝은 '큰 발전' or '큰 도약'을 뜻하는 말로 경제 분야에서는 금리를 한 번에 0.5% 포인트 올리는 것을 말합니다.
시중금리 인상
이번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은행 금리 또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인해 당분간 은행에서 대출은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예적금 이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27일, 신한은행에는 오늘 30일 부터 정기예금, 적립식 예금 등 총 36종의 금리를 상품 및 기간에 따라 0.1%포인트 인상하겠다고 하였습니다. -중략-
기준금리 인상에 신한·하나銀도 예적금 금리 올려
기준금리 인상에 신한·하나銀도 예적금 금리 올려
biz.chosun.com
'Keumka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금피크제 무효 판결 (0) | 2022.05.30 |
---|---|
구글(Google) : 인앱 결제 시스템에 관하여 (0) | 2022.05.29 |
이카루스 프로젝트 그리고 AI (0) | 2022.05.26 |
제 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투표합시다! (0) | 2022.05.25 |
미세플라스틱 : 우리는 매일 먹고 있었습니다. (0) | 2022.05.24 |
댓글0